반응형
소스트리 같은 외부 툴만 쓰다가 터미널로 깃을 사용하려면 막막한 경험이 있었어요.
그래서 터미널로 깃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정리를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시작해 보겠습니다.
git 설치하기
- Windows: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후 설치하세요. 기본 설정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 Mac: 터미널에서 brew install git 입력하면 끝! (Homebrew가 없다면 먼저 설치하세요.)
설치가 끝나면 터미널(또는 Git Bash)을 열고 git --version을 입력해보세요.
버전이 출력되면 성공입니다.
초기 설정
Git을 처음 사용할 땐 사용자 정보를 등록해야 합니다.
저는 처음에 이걸 건너뛰었다가 커밋 기록에 이상한 이름이 남아서 당황했어요.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email@example.com"
이 설정은 커밋할 때마다 기록에 남으니 꼭 정확히 입력하세요.
필수 Git 명령어 5가지
git init
저장소 시작하기
새로운 Git 저장소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로 .git 폴더가 생성되며 버전 관리가 시작됩니다.
git add 파일명
변경 사항 준비하기
파일을 수정하거나 새로 만들었다면, Git에게 "이걸 추적해줘"라고 알려줘야 합니다.
저는 처음에 git add와 git commit의 차이를 몰라서 헤맸는데, 쉽게 말해 add는 준비 단계예요.
여기서 모든 변경사항을 추가 하려면 git add . 해주면 됩니다.
git commit
변경 사항 저장하기
git add로 준비한 파일을 실제로 저장소에 기록합니다.
제가 처음 커밋했을 때 메시지를 대충 썼다가 나중에 뭐가 뭔지 모르던 경험이 있어요. 의미 있는 메시지를 쓰는 게 좋아요.
git status
현재 상태 확인하기
작업 중 뭐가 바뀌었는지, 어떤 파일이 커밋 대기 중인지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git log
커밋 기록 보기
과거 작업 기록을 볼 때 사용합니다. 팀 프로젝트에서 누가 뭘 했는지 확인할 때도 좋아요.
간단히 보려면 git log --oneline 을 써도 좋습니다.
협업을 위한 Git 명령어
git clone
사용예시
git clone https://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
원격 저장소 가져오기
GitHub 같은 곳에서 프로젝트를 내려받을 때 사용합니다.
git pull
사용예시
git pull origin main
최신 코드 가져오기
팀원이 수정한 내용을 내 로컬로 가져옵니다.
git push
사용예시
git push origin main
내 작업 공유하기
내 커밋을 원격 저장소에 올릴 때 사용합니다. 처음엔 권한 문제로 실패해서 당황했는데, 토큰 설정을 제대로 해줘야 합니다.
실수했을 때 되돌리는 법
git revert
특정 커밋을 되돌리고 싶을 때
git revert 커밋해시
커밋 되돌리기
커밋 해시는 git log로 확인해야 합니다. 다만, 잘못 사용하면 꼬일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 합니다.
git reset
강제 되돌리기
git reset HEAD^ --hard
커밋 전이라면 이렇게 되돌릴 수 있습니다.
다만, 되돌릴 수 없으니.... 신중히 사용해야 합니다.
마지막 꿀팁 추가,
- 작게 자주 커밋하기 : 한 번에 큰 작업을 커밋하면 나중에 찾기 힘듭니다.
- 브랜치 활용: git branch로 실험용 브랜치를 만들어 진행하세요. 브랜치는 꼬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규로 따서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반응형
'AI 및 IT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개발툴 써본 소감 및 비교 (깃허브 코파일럿, 윈드서프(코디엄) 후기 ) (0) | 2025.03.25 |
---|---|
유니티(Unity) 맥 macOS 앱 코드사이닝과 공증(Notarization) 하기 (0) | 2025.03.24 |
chat gpt 사주 보기 / 챗 지피티로 사주팔자 후기 (챗gpt 사주 프롬프트 제공) (3) | 2025.02.25 |
애드센스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티스토리 개인도메인 사용하는 경우) 해결법 (1) | 2025.02.20 |
무료로 쓸 수 있는 AI 총정리 (1) | 2025.02.20 |